맨위로가기

이광희 (과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광희는 대한민국의 과학자이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선임연구원,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박사후 연구원, 부산대학교 조교수 및 부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광주과학기술원 히거신소재연구센터 부센터장 및 신소재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태양광발전학회 이사 및 광주과학기술원 차세대에너지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 및 고분자 태양 전지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교육과학기술부 우수과학자, 신재생 에너지 대상, 대통령 표창, 경암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암학술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경암학술상 수상자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민병주
    민병주는 물리학자, 원자력공학자, 정치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장이다.
  • 대한민국의 과학자 - 문미옥
    문미옥은 물리학 박사 출신 과학기술인으로, 연구교수, 과학기술 정책 분야 실장, 제20대 국회의원, 문재인 정부 과학기술보좌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을 역임하고 조국혁신당에 합류한 정치인이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동문 - 이한림
    이한림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서 제9사단장으로 백마고지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으며, 5·16 군사정변 당시 강제 예편 후 건설부 장관, 한국관광공사 사장, 대사를 역임하고 2012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동문 - 바버라 러시
    바버라 러시는 1948년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졸업 후 1950년 영화 데뷔, 골든 글로브상 수상,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 출연, 사라 시돈스 상 수상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친 미국의 배우이다.
이광희 (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광희
출생일1960년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분야재료 과학 및 공학
직장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모교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UCSB)
박사 지도교수앨런 J. 히거 (200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수상
수상 내역2010년 경암상 공학 부문
2011년 최다 인용 베스트 연구상
2013년 과학기술훈장
학력
학사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1983)
석사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1985)
박사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물리학과(1995)
연구 분야
연구 분야유기 태양 전지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 발광 소자
유기 센서
유기 메모리

2. 경력

이광희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재료공학과 정교수이자 앨런 히거 첨단소재 연구센터 부센터장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반도성 및 금속성 고분자를 이용한 고분자 발광 다이오드(LED), 고분자 태양전지, 고분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FET) 등 고분자 소자 분야이다. 2007년부터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2년부터 한국태양광발전학회 이사, 광주과학기술원 차세대에너지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2. 1. 주요 경력


2. 2. 학력

학위학교지도 교수
학사서울대학교
석사한국과학기술원 (KAIST)
박사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UCSB)앨런 J. 히거

[1]

3. 수상

연도수상 내역
2006교육과학기술부 우수과학자 선정
2007산업자원부 신재생 에너지 대상
2008대한민국 대통령 표창
2008교육과학기술부 100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2010교육과학기술부 지식창조대상 수상
2010경암교육문화재단 경암학술상 수상
2011광주과학기술원 최다 피인용 논문상
2013대통령 과학기술 포장


4. 주요 업적


  • 전도성 고분자 내 전하 동역학에 대한 이론 모델인 국소화 변형 드루데 모델을 확립했다.[1]
  • 진정한 금속성 고분자를 생산했다.[2]
  • 모든 용액 공정 가능한 탠덤 고분자 태양 전지를 제작했다.[3]
  • 고분자 태양 전지에서 100%에 가까운 내부 양자 효율을 얻었다.[4]
  • 고분자 사슬을 정렬함으로써 전도성 고분자 필름의 전도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깨달았다.[5]
  • 정적으로 하전된 자기 조립 비공액 폴리전해질을 역 고분자 태양 전지용 계면층으로 사용했다.[6]
  • 전도성 고분자의 금속 상태에서 사슬 간 결합의 핵심 역할을 밝혔다.[7]
  • Polyaniline에서의 금속 수송(Metallic transport)에 대해 연구했다.[8]
  • 모든 용액 공정으로 제작된 효율적인 탠덤 고분자 태양 전지에 대해 연구했다.[9]
  • 100%에 가까운 내부 양자 효율을 갖는 벌크 이종접합(Bulk Heterojunction) 태양 전지에 대해 연구했다.[10]
  • 고성능 유연 전극을 위한 새로운 필름 캐스팅 방법에 대해 연구했다.[11]
  • 역 고분자 태양 전지를 위한 이상적인 계면층으로서 정전기적으로 자가 조립된 비공액 폴리전해질에 대해 연구했다.[12]
  • 전도성 고분자의 금속 상태에서 사슬 간 결합의 역할에 대해 연구했다.[13]

참조

[1] 논문 Phys. Rev. B 48, 14884 1993
[2] 논문 Nature 441, 65 2006
[3] 논문 Science 317, 222 2007
[4] 논문 Nat. Photonics 3, 297 2009
[5] 논문 Adv. Funct. Mater. 21, 487 2011
[6] 논문 Adv. Mater. 24, 3005 2012
[7] 논문 Physical Review Letters, 109, 106405 2012
[8] 논문 Nature 441, 65 2006
[9] 논문 Science 317, 222 2007
[10] 논문 Nature Photonics 3, 297 2009
[11] 논문 Adv. Funct. Mater. 21,487 2011
[12] 논문 Adv. Mater. 24, 3005 2012
[13] 논문 Physical Review Letters, 109, 106405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